[주재근의 얼씨구 한국음악과 문화]세계 1위 저출산율으로 본 국악계의 위기는 기우인가
[주재근의 얼씨구 한국음악과 문화]세계 1위 저출산율으로 본 국악계의 위기는 기우인가
  • 진보연 기자
  • 승인 2024.03.27 15: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재근 한양대학교 겸임교수
▲주재근 한양대학교 겸임교수

“저출산에 비롯된 초고령화 사회, 지방소멸 문제 등으로 인한 더 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국악계에 비상대책위원회가 만들어져야” 

우리나라 국민들의 카드결제 비율이 94%로 세계에서 1등이라고 한다. 이와같이 1등하는 것이 여럿 있는데 그중 가장 심각한 것은 합계출산율이 세계 최저인 0.72명이다. 국민들의 우려깊은 인식과 목소리가 어제 오늘 일이 아닌데도 정부의 대책은 잘 보이지 않고 있다.

2002년 1.18명까지 출산율이 떨어지자 정부는 2004년 고령화 및 미래사회위원회를 발족했고, 2005년 ‘저출산고령화 사회 기본법’을 제정하였다. 그해 9월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가 출범하여 위원장은 당연직으로 대통령이, 부위원장으로 민간위원을 선정하고 있다. 부위원장의 대부분은 나경원과 같이 정치인들이 임명되는 것을 보면 과연 이 위원회가 제대로의 역할과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까 의문이 들 수 밖에 없다. 저출산으로 인해 내수 시장의 축소 등 경제분야, 병력규모의 축소 등 군사 분야, 사회 인프라와 공공 서비스 붕괴 등 사회분야 등 전 분야에 걸쳐 빨간불은 더욱 선명해 지고 있다.

저출산문제는 교육분야도 예외는 아니다. 2023년 자료에 의하면 전체 초등학교 6,163곳 중 약 24%에 해당하는 1,491개 학교는 졸업생이 10명 이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최근에는 서울 도봉고등학교, 서울화양초등학교가 폐교 되는 등 서울에서도 폐교가 나올 정도로 심각해 지고 있다. 통계청의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학령인구(6~21세)는 2014년 918만명에서 2027년에는 거의 절반인 472만명으로 하락을 예상했다. 단순하게 계산을 해보면 3년 후에는 학령인구감소로 초등고등학교와 대학교 수가 절반으로 줄여야 한다는 것이다.

전북 완주군 소재 우석대학교 국악과가 2015년에 폐과가 되었고, 전북 익산 소재 원광대학교 국악과를 포함한 음악학과 전체가 2020년에 폐과되었다.
 2024학년도 경북대학교 국악과의 입시경쟁률은 24명 정원에 53명이 지원하여 2.2대 1의 입시경쟁률이다. 경북대학교 전체 12.39대 1과 비교해 보면 매우 심각한 상황이다. 전남대학교 국악과는 2022학년도에 정원을 채우지 못했다는 기사가 나왔고 전북대학교 한국음악과도 거의 같은 실정이다. 

지방 대학교 국악과로 진학하는 국악전공자 배출을 하는 지방 예능계 예술고등학교의 국악전공자는 거의 없다. 지방에 있는 예술계고등학교 중 전주예술고등학교와 남원국악고등학교, 진도국악고등학교 등이 있는데 이들 수험생들은 지역 대학 보다는 거의 대부분 서울 소재 대학으로 진학을 준비하고 있다. 서울의 국립국악중고등학교와 국립전통예술중고등학교도 최근 급격하게 신입생 입시율이 떨어 지고 있다.

정부의 실효성 있는 저출산 대책이 없는 것은 그렇다 치더라도 미래 국악인재 양성의 중심교육기관의 심각한 상황에 무대책인 국악계가 한심하게 보인다.

1959년 서울대학교 국악과 창설 이후 1972년 한양대학교, 1974년 이화여자대학교, 1982년  부산대학교 등 현재 약 20여개 국립대학과 사립대학에 국악과(한국음악과)가 설립운영되고 있다. 지방 대학 국악과의 폐교에 이은 서울 경기권 대학의 폐교율이 가속화될 것은 명약관화하다. 이러한 심각한 상황에 놓인 이들 학교에 소속 중인 교수들이 해결방안과 단기 중기적 대책을 세우고 있다는 이야기들은 들리지 않고 있다. 국립국악원을 비롯한 국공립 예술기관에서도 이에 대한 문제를 함께 논의해보자고 하는 움직임도 없다.

한국국악협회 등 민간 단체들을 보면 이전투구에 급급해 하고 있어 이에 대한 문제 공감조차도 바랄 수 없다. 더욱 암울한 것은 국악계의 큰어른들이 없다는 것이다. 

이번 대학 의료정원 확대에 따른 의료계의 단합된 모습과 후배 의사들과 의학도들을 위해 교수 사직서 제출을 불사하지 않는 모습에 크게 감동을 받았다.

저출산에 비롯된 초고령화 사회, 지방소멸 문제 등으로 인한 더 큰 문제들이 이제 국악계와 예술계로 당면과제로 떠오를 것이다. 국악계의 어른들이 앞장서고 국공립기관과 민간단체 등이 합심해서 이에 대한 비상대책위원회가 만들어지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