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작으로 장애를 말하다…서울문화재단 <위험 재앙! 그것이 바로 우리다>展
창작으로 장애를 말하다…서울문화재단 <위험 재앙! 그것이 바로 우리다>展
  • 진보연 기자
  • 승인 2024.04.19 10: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5.3~15, 노들섬 노들갤러리 1관
▲서울장애예술창작센터 ‘위험 재앙! 그것이 바로 우리다’ 전시 포스터 일부
▲서울장애예술창작센터 ‘위험 재앙! 그것이 바로 우리다’ 전시 포스터 일부

[서울문화투데이 진보연 기자] 장애·비장애 예술가 공동창작 작품이 시민들과 만난다. 서울문화재단 서울장애예술창작센터 전시 <위험 재앙! 그것이 바로 우리다>가 내달 3일 오후 3시 노들섬 갤러리(1관) 개막식을 시작으로 12일간 개최한다. 

서울장애예술창작센터는 서울문화재단에서 운영하는 장애예술 플랫폼으로 장애예술에 특화된 지원 사업과 입주 작업실 등을 운영하며, 지난 16년간 약 200여명의 장애 예술인을 지원해 예술가로서 활동 반경을 넓힐 수 있도록 했다. 특히 다양한 기업으로부터의 후원을 유치하고, 유관기관과의 활발한 협력을 이끌어 출신 작가들의 창작과 전시를 다방면으로 지원하는 등 ‘장애인의 날’을 맞아 서울문화재단의 행보가 다시금 주목 받고 있다. 

지난해부터 시작된 장애·비장애 예술가의 공동창작워크숍은 서울문화재단이 운영중인 공예, 문학, 무용 등 장르별 문화예술공간의 입주 예술가들이 서울장애예술창작센터의 예술가들과 함께 공동창작을 하는 과정으로, 장애‧비장애 예술가가 서로 다양한 감각과 경험을 공유하며 6개월 간 진행하는 장기 프로젝트다.

 이번 전시를 위한 창작 워크숍에서 예술가들은 사회가 장애인을 각종 위험에서 벗어나지 못하게끔 하는 의식적, 무의식적인 장치에 대해 논의했다. 이런 장치는 장애인이 새로운 시도나 도전을 할 수 없게끔 만드는 것, 비장애인이 장애인을 대할 때 자기 검열을 거친 태도를 가지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창작 워크숍을 통해 잠시나마 이런 ‘위험’한 시도를 할 수 있게끔 하는 ‘위험 원칙’을 세우고 참여자 간에 자유로이 소통할 수 있는 환경에서 의견을 나누는 등 그룹별로 공동작품을 제작했다. 

전시명 <위험 재앙! 그것이 바로 우리다>는 서구 중심의 미술계에 홀로 건너가 언어와 문화적 차이에도 자신의 철학과 작업세계를 관철시키고 현대미술의 결정적인 변화의 시기에 사람들 앞에 섰던 백남준이 ‘황색 재앙, 그것이 바로 나다’라고 선언한 것에 착안했다. 장애인 예술가도 비장애인 위주의 사회에서 장애인이 ‘위험’한 존재로 비치는 점을 지적하며 스스로를 ‘위험’, ‘재앙’으로 선포한다. 이로써 장애인 예술가는 기존 사회가 가지고 있는 장애에 대한 인식에 균열을 내며 장애가 사회에서 공존하는 방법에 대해 찾고자 한다. 전시는 바로 이 점을 각 팀의 색깔로 보여주며 ▲곤란포럼 ▲이노유와 림 ▲풍질노도 ▲썬더볼트 ▲좀비 총 5개 팀의 이름에 맞춰 전시는 5개 섹션으로 구성됐다.

전시는 내달 3일 오후 3시 노들섬 갤러리 1관에서 개막해 12일간 열리고, 화요일부터 일요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8시까지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월요일 휴관, 공휴일 관람 가능) 

한편 오는 23일까지 역삼동에 위치한 신한갤러리에서는 서울장애예술창작센터의 올해 입주 예술가인 김형수, 이진솔, 정의철의 전시 <무성해지는 순간들>을 볼 수 있다. 이에 더해 6월 30일까지 아르코미술관에서 열리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와 지역문화재단 간 장애예술 협력전시 <여기 닿은 노래>에는 서울문화재단의 입주 예술가가 가장 많은 3개 팀으로 참여해, 지역 간 활발한 협력을 이끌고 그간의 장애예술 운영 노하우를 공유한다. 

현재 서울장애예술창작센터에는 6개팀 7명의 장애 예술가들이 입주해 창작활동을 펼치고 있으며, 이들의 작품은 오는 9월 예술의전당 한가람 미술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지난 해 같은곳에서 열린 전시는 8천 명이 넘는 관람객이 다녀가며, 장애가 아닌 예술 작품 자체로 평단과 관객의 호평을 받았다. 

서울장애예술창작센터에서 운영하는 다양한 사업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서울문화재단 누리집(www.sfac.or.kr)과 서울장애예술창작센터의 SNS 채널에서 확인 가능하다. (문의 02-423-66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