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선더랜드대학교의 문화이론 교수인 존 스토리(John Storey)는 대중문화와 관련되는 이데올로기의 개념을 다음과 같이 5가지로 정의하고 있다.
첫째, 이데올로기는 특정집단에 의한 조직적인 사고체계라고 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동당의 이데올로기라면 노동당의 목표와 활동의 근간이 되는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인 사상의 집합이 되는 것이다.
둘째, 이데올로기는 일정한 눈가림이나 왜곡, 은폐를 의미한다. 즉 이데올로기는 사회의 경제적 토대에 존재하는 힘의 역학관계에 대한 상부구조적 반영이나 표현으로서 지배계급은 자신들을 착취자나 억압하는 자들로 생각하지 않으며, 피지배자들도 자신들을 착취나 억압받는 자들로 느끼지 않게 해준다는 것이다.
셋째, 여러 ‘이데올로기 형식들(ideological forms)을 일컫는 용어로 이데올로기가 사용된다는 정의로서 이 개념은 사회가 합의적이라기 보다 대립적이라고 보고 있다. 즉 텔레비전 픽션, 대중가요, 소설, 영화 등에 나타나는 텍스트는 항상 세상에 대한 특정한 이미지를 나타내고 있으며, 독자들에게 특별한 시각으로 세상을 보도록 한다는 점에서 모든 텍스트는 궁극적으로 정치적이라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독일의 극작가 브레히트(Bertolt Brecht)는 “나쁘던 좋던 연극은 항상 세상의 이미지를 포함한다. 관객의 성향과 생각에 어떤 방식으로든 영향을 주지 않는 연극이나 연극적인 공연은 없다. 영향을 주지 않는 예술은 결코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한바 있다.
넷째, 이데올로기는 단순히 관념들의 집합이 아니라 물질적인 실천행위로 보는 정의로서, 이것은 프랑스의 마르크스주의 철학자 루이 알튀세르(Louis Pierre Althusser)에 의하여 발전된 개념이다. 이것은 우리가 일정한 의식이나 관습을 통해 부, 지위, 권력 등 엄청나게 불평등한 사회질서에 얽매이고 있음을 설명해 준다. 예를 들면, 휴가는 즐거움을 주고 사회질서의 일상적인 요구에서 해방시켜 주지만, 궁극적으로는 다음번 휴가 때까지 힘을 되찾아 착취와 억압에 견디도록 하고 본래의 질서 속으로 되돌려 놓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이데올로기는 자본주의를 지속시키기 위한 경제적 상황과 경제적 관계에 필요한 사회적 관계를 ‘재생산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다섯째, 프랑스의 문화이론가 롤랑 바르뜨(Roland Barthe)는 이데올로기의 정의를 ‘내포 의미’(connotation, 말의 명시적 의미에 대하여 감정적, 사회적, 문화적 의미를 포함)의 범위를 정하기 위하여, 어떤 함축된 의미를 수정하거나 새로운 함축적 의미를 만들기 위한 헤게모니 투쟁으로 해석하였다.
바르뜨는 이데올로기가 주로 함축적인 수준에서, 즉 텍스트나 실천행위가 전하거나 전할 수 있는 이차적, 때로는 무의식적인 의미의 단계에서 작용한다고 주장 하였다. 과거 영국 보수당이 ‘사회주의’라는 단어를 감옥창살로 가리는 장면으로 표현한 정치선전을 방영한 사례가 있는데, 이것은 사회주의라는 단어의 함축적 의미를 수정, 사회주의는 부자유를, 보수주의는 자유를 함축한다는 양자 대립관계를 나타내려 한 것으로, 바르뜨는 이를 부분적이고 특이한 현상을 보편화하고 정당화 함으로써 문화적인 현상을 본질적인 것처럼 위장한 이데올로기 작용의 예로 들었다.
일반적으로 이데올로기는 특정한 계급 이익을 표현하며, 또 그에 상응하는 행동규범, 입장, 가치평가를 포괄하는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법적, 교육적, 예술적, 도덕적, 철학적 견해의 체계를 일컫는 용어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데올로기는 문화와의 공통 개념 영역속에서 정치적 차원을 도입하고 있다.
따라서 문화를 다루는 문화정책의 입장에서는 가급적 정치적 차원을 배제함으로써, 다양한 창의성의 개발과 끊임없는 새로운 세계로의 도약을 뒷받침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