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문화투데이 진보연 기자]연극을 중심으로 시민과 연극인이 교류하는 ‘서울연극센터’가 리모델링을 마치고 3년 만에 다시 문을 열었다.
2007년 개관해 연간 약 13만 명의 방문객이 찾을 만큼 대학로 연극의 허브 역할을 해온 서울연극센터는 지난 2020년부터 약 3년 동안 노후된 건물의 안전을 보강하고 공간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공사를 서울시 주관으로 진행해왔다.
연면적 942.61㎡ 규모의 서울연극센터는 리모델링 공사를 통해 기존 2개 층만 사용하던 공간에서 지상 4층으로 확장해 전 공간을 활용해 연극을 중심으로 시민과 연극인이 만날 수 있도록 조성했다. 별도의 로비가 없는 대학로 소극장들의 공공 라운지 역할을 하는 1층에선 방문객 누구나 공연 전에 시간을 보내거나 대학로에서 펼쳐지고 있는 공연예술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2층은 연극인을 위한 작업공간으로 연습, 회의, 세미나 등을 할 수 있는 다목적실, 세미나실, 공유랩을 마련했으며, 3층은 쇼케이스, 낭독공연, 전시, 교육, 포럼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가능하도록 스튜디오를 설치했다.
12일 재개관식에는 오세훈 서울시장을 비롯해 남명렬, 임대일, 전국향, 정동환 등 배우가 참석해 새로 문을 연 ‘시민과 연극인이 교류하는 플랫폼’ 서울연극센터의 새 출발을 축하했다. 연출가, 극작가, 배우 등 현장 예술가를 비롯해 국공립 공연예술단체, 연극계 협회 및 단체 관계자가 센터 재개관식에 참여했다.
현장에서는 ‘창작중심 단디’가 건물의 외벽에서 줄을 이용한 플라잉 퍼포먼스로 개관을 알렸고, ‘천하제일탈공작소’가 길놀이 공연의 형태로 공간내부를 돌아보는 것으로 행사를 마무리했다.
서울연극센터는 재개관을 맞아 관객과 배우를 연결하는 <퇴근 후 공연 전>,다양한 방식으로 희곡을 감각하는 <희곡제: 침묵과 말대꾸> 등 2개의 프로그램을 내달 31일까지 진행한다.
<퇴근 후 공연 전>은 12일부터 매주 수요일 오후 6시 30분에 진행하는 연극인의 토크 프로그램이다. 관객의 퇴근과 연극인의 출근 사이의 시간에 일과 연극, 연기와 삶 등을 주제로 대화를 나눈다. 강애심, 김신록, 박정자, 성수연, 손숙, 우미화, 이승준, 장영남, 정동환, 정원조, 황은후 등 연극을 기반으로 매체 활동이 활발한 배우와 부새롬 연출 등 12명의 연극인이 출연할 예정이다.
<희곡제: 침묵과 말대꾸>는 13일부터 31일까지 펼쳐지는 희곡 중심 페스티벌이다. 연극 전문 웹진 ‘연극in’에 게재된 희곡 47편을 전시, 낭독공연, 공개감상 등을 통해 감각해보는 프로그램이다. 신해연, 김주희, 전서아, 조소민, 나수민, 강동훈 작가 등 46명의 극작가가 참여한다.
서울연극센터의 재개관을 시작으로 하반기에 준공될 연극창작지원시설(가칭) 등 잇따라 대학로 인근에 문을 여는 공간들이 연극 전문 클러스터로서 유기적으로 작동해, 연극 생태계의 선순환이 실현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문화재단은 지난해 7월 대학로극장 쿼드의 개관에 맞춰 ‘신(新)대학로 시대’를 선포한 바 있다. 서울연극센터는 시민과 연극인을 잇는 교류 플랫폼을 지향하고, 연극창작지원시설(가칭)은 연극인 창작을 집중 지원하는 플랫폼으로 기능할 예정이다. 인프라가 풍부한 대학로를 중심으로 예술가의 창작, 공연, 교류를 지원하는 선순환 체계가 마련된 것이다. 서울연극센터에서는 대학로를 찾는 시민이 연극 향유의 문턱을 낮게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시민연극 워크숍을 생활예술과 연계해 운영하는 등 시민 대상 프로그램을 추가로 준비하고 있다. 더불어 다양한 현장 연극인이 참여하는 운영 자문회의를 통해 연극계 이슈와 주요 의제도 공유할 예정이다.
서울문화재단 이창기 대표이사는 “새단장을 마친 서울연극센터의 재개관을 시작으로 하반기에 준공될 연극창작지원시설까지, 새로운 연극 전문 클러스터가 대학로 연극 인프라와 생태계에 선순환 동력을 제공할 것”이라며 “대학로의 연극 벨트들을 잇고 순환시켜 ‘신(新)대학로 시대’를 실감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기획 프로그램의 관람 방법을 비롯한 자세한 내용은 서울문화재단 홈페이지와 사회관계망서비스(인스타그램@seoultheatercente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문의: 02-743-9333)